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별한 사람들을 위한 애도 심리 에세이

by @블로그 2023. 3. 26.
반응형

친구와의 통화 후 얼마 전에 읽었던 애도 에세이가 생각나서 포스팅해봅니다.


[소중한 사람을 떠나보냈습니다.] 채정호 님의 심리 에세이를 읽었습니다.
이별한 사람들을 위한 애도 심리 에세이라는 부제도 보입니다.

너를 어떻게 잊어야 할까?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사랑했던 사람과도 이별하고 평생을 함께 할 것 같은 부부간에도 한순간에 남남이 되기도 하죠.
하물며 아끼던 물건과도 이별을 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살아가는 동안 이런 슬픈 일은 피해 갈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냐만은 언젠가는 모두 떠나보내야 합니다.

저 역시도 3년 전 엄마를 보내드려야 하는 상실을 경험해 보았습니다. 삶을 살아가면서 상실에 대한 경험은 많이 했지만 애도는 누군가를 떠나보낸다는 가슴 아픈 일이에요

책에는 정신과 의사로 살아온 저자 채정호작가님께서 많은 상실을 목격하셨고 여러 사례에 의해서 상실에 대처하는 자세와 목풍처럼 몰아치는 감정과 상처를 어떻게 잘 떠나보낼 수 있는지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지금 나는 극도로 긴장한 채,잔뜩 웅크린 채
그 어떤 '살아가는 의미'가 도착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롤랑 바르트,<<애도일기>>



어제 친구와 통화에서 자기동네에서 급발진 자동차 사고가 났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할머니가 운전을 하였고
5학년 남자아이 손주가 타고 있었다고 합니다.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였고 그 사고로 인해 할머니는 사셨지만 5학년 남자아이는 사망 하였다고 합니다. 그 남자 아이는 전교 임원을 할만큼 매우 똑똑한 아이였다고 합니다.

같은 나이의 아이를 키우고 있는 입장으로써 너무나 가슴이 먹먹한 소식이었어요.



할머니는 어떻게 살아가실까요?
부모는 갑작스런 이 슬픔을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까요?



📕상실의 슬픔과 상처를 잘 떠나보내기 위한 여정에 당신도 함께 하면 좋겠습니다.그 여정의 끝에서 당신의 상실과 그 상처를 마주하고,비로소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습니다. -애도의말 p15



애도를 대처하는 방법도 중요하지만 주변 사람들의 반응도 중요하죠.

상실한 사람을 마주하게 되면 사실 무슨말을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는 마음이 제일 먼저 들어요.

괜히 아픈마음 건드릴까봐.잊고 사려고 하는데 이야기를 꺼내는걸까바 우리는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것 같아요.심한 경우 옆에서 뭐라고 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왜 꺼내냐며 ...



하지만 본문처럼 이야기를 하게 하고 밖으로 꺼내 자꾸 이야기 하게 해야한다는 겁니다.

충분히 힘들어하고 밖으로 울고 힘든 마음을 억압하지 말라는 겁니다. 그러면 그럴수록 안에서 더 곪으니까요.

이야기 하게 하고 들어주면 됩니다.우리는 그 과정에서 위로해주고 토닥여주면서 안정을 찾게 하면 되는거구요.



📕어느 정신분석가는 "인생은 이런저런 잃어 버리는 것에 익숙해지고 견디면서 어른이 되어가는 것" 이라고 했습니다. p25



우리 속담중에 소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이 있잖아요. 상실을 경험하게 되면, 무언가 없어보게 되면,그에 소중함을 알게 되기에 어쩌면 우리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주는 겁니다. 티비에 나오는 사건사고를 보면서 오늘도 무사한 우리가족을 보면 감사하단말이 나오는 것 처럼요.



상실의 경험에서 상실이 없었던 삶에 대해 미련도 갖지말고 부정적으로 보지말고 피하려 하지말라.상실은 꼭 살면서 피 할수 없다.가장 중요한 것은 '현제의 목적'을 분명히 알고 나를 위로하고 나를 지켜주는 삶을 살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어찌보면 너무나 냉정해 보이는 메세지 일지 모르겠지만 현실을 직시해야하는 것만큼 우리 마음을 보호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별,이혼,사별,죽음 등 사실에 따른 슬픔을 겪지 않을 삶은 없습니다.이런 절대적 인생사건 앞에 우리는 하염없이 흔들립니다.그것이 정상이고 사람입니다.



인고와 치유의 시간을 통과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온전하게 상실을 감내하는 법을 터득하는 것입니다.

-본문 중에서

<이별 ,사별,이혼,죽음등의 상실로 마음아파 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수많은 사례들을 보면서 위로도 받고 공감도 받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